728x90

이 글은 양주종의 코딩스쿨 리눅스(Linux) 기초 강좌 30강 모음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10강 파일 내용 보기(cat/nl/more/less)

(일반 사용자 id: j, pw: j)

(관리자 id: root, pw: r)

 

cat file_name

[j@hj0216 ~/ddd]$ cat b
# vim:ts=4:sw=4

[j@hj0216 ~/ddd]$ cat b -n
    92  # vim:ts=4:sw=4

[j@hj0216 ~/ddd]$ cat b -b
    85  # vim:ts=4:sw=4

cat option

-n: 비어있는 행까지도 행 번호 추가하여 내용 조회

-b: 비어있는 행 제외 행 번호 추가하여 내용 조회

 

nl file_name

[j@hj0216 ~/ddd]$ nl b
    85  # vim:ts=4:sw=4

# cat b -b와 동일

 

less file_name: 파일 내용이 많을 경우, 내용 끊어 읽기

[j@hj0216 ~/ddd]$ less b

# enter: 한 줄씩 넘기기
# space bar: 한 페이지씩 넘기기
# q: 나가기

➕ more file_name: 파일 내용이 많을 경우, 내용 끊어 읽기

less 명령어는 위아래로 이동하며 읽을 수 있고, more 명령어는 위에서 아래로만 이동이 가능함

less 명령어는 다 읽어도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q'를 입력해야하고, more 명령어는 다 읽을 경우 자동 종료됨

 

head file_name: 내용의 최상단 10줄 반환

[j@hj0216 ~/ddd]$ head p

➕ head -n file_name: 내용의 최상단 n줄 반환

* n이 10보다 클 경우, n줄 반환

* 옵션 위치 고정(head file_name -n: invalid trailing option)

 

tail file_name: 내용의 최하단 10줄 반환

[j@hj0216 ~/ddd]$ tail p

파일 최하단에 수정 내용을 조회할 때 유리

 

 

 

참고 자료

📑 (리눅스) more과 less의 차이(less가 더 좋다!)

📑 리눅스 cat, more, less, head, tail 명령어 비교 정리 (파일 내용 확인 출력)

 

728x90
728x90

이 글은 양주종의 코딩스쿨 리눅스(Linux) 기초 강좌 30강 모음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09강 디렉토리 생성(mkdir) 삭제(rmdir)

(일반 사용자 id: j, pw: j)

(관리자 id: root, pw: r)

 

mkdir dir_name

[j@hj0216 ~/ddd/d10]$ mkdir ...
[j@hj0216 ~/ddd/d10]$ ls
[j@hj0216 ~/ddd/d10]$ ls -al
합계 0
drwxrwxr-x. 3 j j 17  1월 23 19:02 .
drwxrwxr-x. 3 j j 17  1월 23 19:00 ..
drwxrwxr-x. 2 j j  6  1월 23 19:02 ...

[j@hj0216 ~/ddd]$ mkdir d{1..5}
[j@hj0216 ~/ddd]$ ls
d1  d2  d3  d4  d5
# d{1..5}: d1, d2, d3, d4, d5 dir 생성

ls -al: dir 내 모든 목록 자세한 출력(숨김 항목 표시)

.: 현재 dir

..: 상위 dir

'.'으로 시작하는 dir은 숨김 항목 처리됨

 

rmdir dir_name

[j@hj0216 ~/ddd/d10]$ ls
d100
[j@hj0216 ~/ddd/d10]$ rmdir d100
[j@hj0216 ~/ddd/d10]$ ls

[j@hj0216 ~/ddd]$ rmdir d10
rmdir: failed to remove `d10': 디렉터리가 비어있지 않음
# rmdir dir_name: 빈 dir이 아닐경우 삭제 불가

[j@hj0216 ~/ddd]$ rmdir d{1..5}
[j@hj0216 ~/ddd]$ ls
# rmdir d{1..5}: d1, d2, d3, d4, d5 dir 삭제

[j@hj0216 ~/ddd]$ rm -rf d10
[j@hj0216 ~/ddd]$ ls d10 -al
ls: cannot access d10: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 rm -rf file_name: file or dir 강제 삭제

➕ rm [option] file_name: 파일 삭제

-r: 해당 dir 및 해당 dir의 하위 모든 파일 및 dir 삭제

-f: 삭제 여부를 묻지 않고 강제 삭제

 

 

 

참고 자료

📑 [LINUX] 리눅스 RM 명령어 - 파일 및 디렉터리 삭제

 

728x90
728x90

이 글은 양주종의 코딩스쿨 리눅스(Linux) 기초 강좌 30강 모음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08강 도움말 보기

(일반 사용자 id: j, pw: j)

(관리자 id: root, pw: r)

 

도움말 보는 방법

[j@hj0216 ~]$ls --help
# 명령어 --help

[j@hj0216 ~]$info cp
# info 명령어

[j@hj0216 ~]$man nl
# man 명령어

# q 빠져나오기
# space bar 페이지 단위 넘어가기
# /내용 내용 찾기

⭐ --help 출력 내용 해석

[]: 생략 가능

...: 중복 허용

728x90
728x90

이 글은 양주종의 코딩스쿨 리눅스(Linux) 기초 강좌 30강 모음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07강 디렉토리 내용 보기

(일반 사용자 id: j, pw: j)

(관리자 id: root, pw: r)

 

[j@hj0216 ~]$ mkdir dd
[j@hj0216 ~]$ touch aa
[j@hj0216 ~]$ cal > bb

mkdir dd: dir dd 생성

 

touch: 파일의 접근 시각을 변경해주는 명령어

+ touch aa(파일명): 현재 시각으로 파일 생성

 

cal > bb: cal 출력 내용을 파일 bb에 저장

 

해당 dir 내 파일 목록 조회

[j@hj0216 ~]$ ll
합계 4
-rw-rw-r--. 1 j j   0  1월 23 17:40 aa
-rw-rw-r--. 1 j j 144  1월 23 17:40 bb
drwxrwxr-x. 2 j j   6  1월 23 17:40 dd
[j@hj0216 ~]$ alias
alias egrep='egrep --color=auto'
alias ll='ls -l --color=auto'

 

출력 내용 해석

drwxrwxr-x. 2 j j   6  1월 23 17:40 dd

d: dir (-: file, l: symbolic link)

 

 

r: read

w: write

x: execute

 

2: 하드 링크수

 

j: 소유주

j: 소유그룹

 

6: file or dir size

 

1월 23 17:40: 최종 수정 시간

dd: file(흰색) or dir(파란색), symbolic link(하늘색) name

 

ls 명령어: 파일 목록 조회

[j@hj0216 /etc]$ ls
DIR_COLORS               makedumpfile.conf.sample
DIR_COLORS.256color      man_db.conf
DIR_COLORS.lightbgcolor  mke2fs.conf

# 파일 목록 조회
[j@hj0216 /etc]$ ls -l
합계 1040
-rw-r--r--.  1 root root     5090 10월 30  2018 DIR_COLORS
-rw-r--r--.  1 root root     5725 10월 30  2018 DIR_COLORS.256color
-rw-r--r--.  1 root root     4669 10월 30  2018 DIR_COLORS.lightbgcolor

# 자세한 파일 목록 조회
[j@hj0216 /etc]$ ls -lS
합계 1040
-rw-r--r--.  1 root root   670293  6월  7  2013 services
-rw-r--r--.  1 root root    18766  1월 15 19:06 ld.so.cache
-rw-r--r--.  1 root root    12288  1월 15 19:17 aliases.db

# 파일 목록 크기 내림차순 정렬
[j@hj0216 /etc]$ ls -lSr
합계 1040
-rw-r--r--.  1 root root        0 10월 31  2018 subuid
-rw-r--r--.  1 root root        0 10월 31  2018 subgid
-rw-r--r--.  1 root root        0  6월  7  2013 motd

# 파일 목록 크기 오름차순 정렬
[j@hj0216 /etc]$ ls -lt
합계 1040
-rw-r--r--.  1 root root       94  1월 23 17:52 resolv.conf
-rw-r--r--.  1 root root     2853  1월 15 22:57 bashrc
-rw-r--r--.  1 root root    12288  1월 15 19:17 aliases.db

# 파일 목록 최신순 정렬
[j@hj0216 /etc]$ ls lvm -R
lvm:
archive  backup  cache  lvm.conf  lvmlocal.conf  profile
ls: cannot open directory lvm/archive: 허가 거부
ls: cannot open directory lvm/backup: 허가 거부
ls: cannot open directory lvm/cache: 허가 거부

lvm/profile:
cache-mq.profile                  metadata_profile_template.profile
cache-smq.profile                 thin-generic.profile
command_profile_template.profile  thin-performance.profile
lvmdbusd.profile

# 파일 목록 dir의 내부까지도 조회
[j@hj0216 /etc]$ ls -F
modprobe.d/
mtab@
/bin/znew*

# 실행 가능 파일: *, dir: /, 링크: @ 등의 지시자와 함께 출력

 

 

 

참고 자료

📑 Linux(리눅스) : ls명령어 옵션 정리 및 사용법

 

728x90
728x90

이 글은 양주종의 코딩스쿨 리눅스(Linux) 기초 강좌 30강 모음 수강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06강 디렉토리 이해 - HOME

(id: j, pw: j)

 

문제: CentOS에서 현재 위치해있는 디렉토리 반환을 가장 마지막의 디렉토리만 반환

[j@hj0216 ~]$ cd /etc
[j@hj0216 etc]$
[j@hj0216 etc]$ pwd
/etc
[j@hj0216 ~]$ cd /usr/local/etc
[j@hj0216 etc]$
[j@hj0216 etc]$ pwd
/usr/local/etc

 

해결

1. root 계정 로그인

: 로그아웃(ctrl + D) 후, id: root, pw: r 입력

* /etc의 파일은 system 파일이므로 일반 사용자들은 수정이 불가함

 

2. vi /etc/bashrc -> vi editor로 이동

:se nu 행번호 입력

:41 41행으로 이동

41행의 PS1="[\u@\h \W]\\$" -> PS1="[\u@\h \w]\\$" 으로 변경

w에 커서를 두고 shitf + `(~) 대소문자 전환

:wq 저장 종료

* vi editor: 작업이 끝나면 esc를 눌러주고 명령어 실행

 

3. 실행중인 PuTTY 종료 후, 경로 이동하여 출력 상태 확인

[j@hj0216 ~]$
[j@hj0216 ~]$ cd /etc
[j@hj0216 /etc]$ cd /usr/local/etc
[j@hj0216 /usr/local/etc]$

 

 

Home Directory로 이동

[j@hj0216 ~]$ cd ~
[j@hj0216 ~]$ cd $HOME
[j@hj0216 ~]$ cd

 

Root Directory로 이동

[j@hj0216 ~]$ cd /

⭐ root dir 밑의 dir이나 file에 접근하고 싶을 때는 맨 앞에 '/' 필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