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참고 자료

📖 소플의 처음 만난 AWS

 

DNS(Domain Name Service)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

  * 레코드: 도메인에 연결된 IP 주소

 

Route53

구성

  * 호스팅 영역(Hosted Zone): 레코드의 컨테이너

    * 퍼블릭 호스팅 영역: 인터넷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자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레코드를 포함

    *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 VPC에서 트래픽을 라우팅하고자 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레코드를 포함

관련 용어

  * DNS 쿼리: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요청

  * DNS 장애 조치: Route53에 연결된 서버 또는 ELB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다른 대체 위치로 라우팅하는 기능

레코드 유형

  * A(Address): IPv4 주소

  * AAAA(Address): IPv6 주소

  * CNAME(Canonical Name): 별칭 레코드, 현재 레코드의 이름에 대한 DNS 쿼리를 다른 도메인 또는 하위 도메인으로 매핑

  * MX(Mail eXchange): 이메일을 전달하기 위한 레코드

  * NS(Name Server): 네임 서버 주소를 담고 있는 레코드(자동 생성, 함부로 변경하면 안됨)

  * SOA(Start of Authority): 권한 시작 레코드, 도메인에 대한 기본 DNS 정보 식별(자동 생성, 함부로 변경하면 안됨)

라우팅(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프로세스) 방식

  * Latency based Routing(지연 시간 기반 라우팅):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리전의 IP 주소로 라우팅하는 방식

  * Weighted based Routing(가중치 기반 라우팅): IP 주소나 ELB DNS 주소에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에 따라 라우팅하는 방식

  * Geo based Routing(지역 기반 라우팅): 지역에 따라서 각기 다른 IP 주소로 라우팅

 


호스팅 영역 생성

1. Route53 - 시작하기 - 호스팅 영역 생성 - 시작하기

2. 도메인 이름 입력 후 호스팅 영역 생성 클릭

3. 레코드의 NS, SOA 자동 생성 확인

4. 레코드 생성 클릭

5. 레코드 이름, 레코드 유형, 값 입력 후 레코드 생성 클릭

 

호스팅 영역 삭제

1. 호스팅 영역 삭제 전 NS, SOA 제외한 모든 레코드 삭제

2. 영역 삭제

 

728x90

'PlayGround > AWS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Watch  (1) 2025.03.31
[AWS] IAM  (0) 2025.03.24
[AWS] 과금의 이유를 알아보자...  (0) 2025.03.22
[AWS] RDS  (0) 2025.03.20
[AWS] Auto Scaling  (0)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