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WS 프리티어도.. 과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체험해보고.. 왜 과금이 되었나는 정리해봅니다.. 어흑..

 

비용이 나온 건 슬프지만 왜 나왔나를 알아보기 위해 청구서를 살펴봅니다..

 

마음의 준비를 하고,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에서 청구서를 클릭합니다..

 

Amazon Web Services Korea LLC 서비스별 요금을 눌러보며 이유를 찾아봅니다..

 

1. Virtual Private Cloud

  * AWS 클라우드 내에서 사용자의 전용 네트워크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

$0.00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for EC2 Free Tier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이렇게 2개 적혀 있는 걸 보아선 Free Tier를 넘어서 쓴 것 같군요..

 

그렇다면 VPC 비용은 어디서 나왔을까요..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24/02/aws-free-tier-750-hours-free-public-ipv4-addresses/

 

AWS 프리 티어, 이제 퍼블릭 IPv4에 대한 요금이 부과됨에 따라 750시간의 무료 퍼블릭 IPv4 주소 사

오늘부터 AWS는 Amazon Elastic Compute Cloud용 AWS 프리 티어에 매달 750시간의 퍼블릭 IPv4 주소 사용량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합니다(12개월 무료). Amazon EC2의 기존 또는 신규 AWS 프리 티어 고객인 경우

aws.amazon.com

https://utilgosu.co.kr/%ED%94%84%EB%A6%AC%ED%8B%B0%EC%96%B4-%EA%B8%B0%EA%B0%84%EC%97%90-aws-vpc-%EC%9A%94%EA%B8%88%EC%9D%B4-%EB%82%98%EC%98%A8-%EC%9D%B4%EC%9C%A0/

 

프리티어 기간에 aws vpc 요금이 나온 이유 - 아임크로

AWS는 첫 사용 시 1년간 프리티어 혜택을 제공한다. 하지만 AWS가 워낙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나 같은 초보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프리티어 혜택을 초과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가 많다. 나

utilgosu.co.kr

AWS에서 퍼블릭(Public) IPv4 주소에 대한 새로운 요금이 도입됩니다. 2024년 2월 1일부터 서비스 연결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퍼블릭 IPv4 주소에 대해 시간당 IP당 0.005 USD의 요금이 부과됩니다.
VPC는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브넷 하나당 하나씩 IP주소를 갖는다.
즉, 하나의 VPC라도 2개 이상의 IPv4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vpc에는 2개 이상의 서브넷 주소가 있기 때문에, 한 달 내내 vpc를 사용한다면 프리티어 제한 시간인 750시간을 초과할 수 밖에 없다.

 

 

2. Data Transfer

Bandwidth

$0.000 per GB - regional data transfer under the monthly global free tier

$0.01 per GB - regional data transfer - in/out/between EC2 AZs or using elastic IPs or ELB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처음에 EC2를 생성했을 때, Region을 확인안하고 만들어서.. 가 본적도 없는 스톡홀름에 EC2를 열심히 만든 기억이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스웨덴을 방문해보네요..

 

ELB 보니까 생각났습니다..

ELB의 목적 다른 AZ를 써야하지 않겠습니까..

그곳에서 발생한 것 같습니다..

 

 

3. Elastic Compute Cloud

EBS

$0.00 per GB-Month of snapshot data stored under monthly free tier

$0.05 per GB-Month of snapshot data stored - Asia Pacific (Seoul)

 

스냅샷은 GB단위군요..

인정합니다..

제가 EC2의 스냅샷을 만들고 안지우고 있었습니다..

 

 

🥸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750시간까지는 무료라던 VPC가 323시간만 인정되었기 때문에.. 우선 문의를 먼저 해보겠습니다..

 

2025.03.24 업데이트

프리티어를 사용하고 계실 경우, EC2용 퍼블릭 IPv4 주소에 대해 월 750시간의 무료 혜택이 제공되지만, 안타깝게도, RDS와 같은 다른 서비스와 연결되어 사용된 퍼블릭 IPv4 주소에 대해선 프리티어 혜택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문의하신 약 450 시간의 VPC 사용량은 EC2가 아닌 RDS와 ELB에 연결되어 사용된 퍼블릭 IPv4 주소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해당 사용량에 대해 표준 요금이 부과된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프리티어 혜택이 적용되는 VPC 사용량은 청구서상에서 '$0.00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for EC2 Free Tier'와 같이 표기됩니다.

 

 

1. 지원 센터 입장🙋‍♀️

https://support.console.aws.amazon.com/support/home#/

 

https://support.console.aws.amazon.com/support/home#/

 

support.console.aws.amazon.com

 

2. 오른쪽 하단의 사례 생성✍️

 

 

🍀단 돈 0.01달러라도 과금이 되었을 때 알 수 있는 방법

과금 정보 및 비용 관리 - 비용 모니터링

1. 예산 생성

2. 비용 모니터 생성

을 통해 메일을 받아본다..

 

하지만, 비용은 다음날 집계되므로 나오기 전에는 알 수 없다.. 💸

https://brunch.co.kr/@topasvga/3557

 

AWS 비용 알람 쉽게 받는 2가지 방법-2023

비용 이상항목 모니터링 설정과 예산 상태 모니터링 설정법입니다. <1> '비용 이상 항목'  모니터링 설정 <2> 예산 상태 클릭해 등록하자. <1> '비용 이상 항목'  모니터링 설정 1 오른쪽 위 내계정

brunch.co.kr

 

728x90

'PlayGround > AWS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IAM  (0) 2025.03.24
[AWS] Route53  (0) 2025.03.23
[AWS] RDS  (0) 2025.03.20
[AWS] Auto Scaling  (0) 2025.03.18
[AWS] ELB  (0) 202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