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91

[WPF] ControlTemplate의 영향력 xaml에서 비슷한 두 개의 코드에 style을 적용시켰는데, 하나의 코드에서는 동작하고 하나의 코드에서는 동작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를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저에겐 MouseOver 시, 글씨를 굵게 만들어주는 Style이 하나 있습니다.   스타일을 한 번 정의해두면, 여러 UI 요소에 동일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 코드의 재사용성.. 2024. 6. 30.
# 16_NULL_널_생각해 16_NULL_널_생각해조금 더 생각해 보고 싶은 부분을 공부한 글입니다.작성일: 2024-06-23수정일: 주제를 선정한 이유저는 작은 단위의 테스트에서는 문제 없지만, 큰 단위의 테스트를 진행할 때 제일 많이 발생했던 오류가 NullPointerException입니다. (그리고 아직도 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null값에 대해서 if문으로 처리를 해주다 문득 null 값은 어디서 처리해주는 게 좋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원모어찬스의 널 생각해와 함께 해보겠습니다.  Null나무위키에서 얻어왔습니다.0이 없어요, 라면 null은 진짜 없어요인 셈이죠.객체나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그 안의 데이터를 가져오려는데, 객체나 인스턴스가 Null, 즉 없으면 NullPointerExcept.. 2024. 6. 23.
# 15_Parameter_파최몇_파라미터_최대_몇개까지_가능 15_Parameter_파최몇_파라미터_최대_몇개까지_가능조금 더 생각해 보고 싶은 부분을 공부한 글입니다.작성일: 2024-06-16수정일: 2024-06-17  주제를 선정한 이유저는 메서드를 만들어도 수정할 일이 많습니다..🥸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메꾸는 코드를 만들다보면.. 자꾸 매개 변수의 개수도 늘어납니다. 하지만, 기존의 코드를 하나하나 찾아가서 매개 변수가 늘었으니, 너도 인자를 하나 더 보내주렴..🫠 하는 상황에 지쳐 오랜만에 글을 적어봅니다.  주제1: Parameter를 추가하는 방법메서드의 파라미터를 변경한다면 어떤 방식들이 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Overloading서로 다른 매개변수를 갖는 같은 이름의 여러 개의 메서드를 정의하는 것을 오버로딩이라고 합니다.즉, 기존의 .. 2024. 6. 17.
[WPF] 생성자 단위 초기화와 필드 단위 초기화 현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특정 API를 호출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얼 정리하면 좋을까하다가 java와 달리 C#에서는 필드라는 개념이 추가적으로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생성자를 이용한 초기화1234567891011private string _initializationConstructor;public string InitializationConstructor{    get { return _initializationConstructor; }    set { _initializationConstructor = value; }} public ViewModelMain(){    InitializationConstructor = "Initialize with Constructor.. 2024. 6. 4.
[WPF] MVVM 패턴에서의 전체 선택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수동 전체 선택을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장작 6시간의 대장정..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정리해봅니다. 사실 전체 선택을 누르면 전체가 선택되고, 전체 선택을 해제하면 전체가 해제되도록 만드는 것은 쉽습니다.View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Window>    Grid>        StackPanel Orientation="Vertical">            CheckBox Content="All"                      IsChecked="{Binding IsAllChecked, Mode=TwoWay}"                      />            Separator/>            Ch.. 2024. 5. 19.
[WPF] ObservableCollection WPF를 사용하면서 처음 알게 된 ObservableCollection 클래스와 프로젝트 진행 시, 헤맸던 부분을 정리해봅니다. 1. ObservableCollection Class항목이 추가 또는 제거되거나 전체 목록을 새로 고칠 때 알림을 제공하는 동적 데이터 컬렉션 저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MVVM 패턴에 맞춰서 진행을 하다보니 처음에 가장 어려웠던 점은 VIew와 ViewModel의 연동이었습니다. 대표적으로 ViewModel 단에서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View 즉, UI에는 반영이 안되는 것이죠.(🥸 리액트 배울 때는 State에 설정만 해주면 페이지 고침없이도 딴딴하고 바뀌는데,, 라는 생각을 잠깐 했습니다.) 보통은 이럴 때, INotifyPropertyChanged를 구현해서 View.. 2024.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