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ertificate/Linux Master Certi

[Certificate] Linux Master Level2 (220903_41-80)

by HJ0216 2023. 2. 19.

41.
chgrp: 파일이나 dir 소유그룹 변경
chmod: 파일이나 dir mode 변경
-R: 해당 dir 및 하위 dir까지 변경


42.
fsck: file system check,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령어
e2fsck: linus file system인 ext2, ext3, ext4를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령어로 현재 리눅스 배포판에서 fsck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되는 명령
mkfs: make file system,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듦
xfs_repair: xfs file system의 검사 및 복구


43.
fdisk: disk partitioning status 확인


44. chmod 명령어
u,g,o,a : 소유자(u), 그룹(g), 그 외 사용자(o), 모든 사용자(a) 지정
+,-,=   : 현재 모드에 권한 추가(+), 현재 모드에서 권한 제거(-), 현재 모드로 권한 지정(=)
r,w,x   : 읽기 권한(r), 쓰기 권한(w), 실행 권한(x)
s        : Setuid, Setgid
t         : Sticky bit, sticky bit 적용 시 dir 소유자나 파일 소유자 또는 super-user가 아닌 사용자들은 파일을 삭제하거나 이름을 변경할 수 없음
* g+t /dir 사용 X


45. quota
edquota: 사용자나 그룹에 quota 설정 시 사용하는 명령어
repquota: report quota, 사용중인 quota 확인
xfs_quota: xfs file quota 설정 및 확인


46. 
userquota: 개별 사용자의 쿼터를 제한할 수 있는 속성


47.
uid: User Identifier
gid: Group Identifier, user가 속한 Main Group
groups: user가 속한 모든 그룹(Main Group + Sub Groups)
* sub Group에 속하여 얻은 권한은 sub Group에 속함

# id ihduser
uid=1009(ihduser) gid=1010(project) groups=1009(ihduser), 1010(project) 
# ls -ld /project
drwxr-xr-x, 2 root project 6 Apr 6 10:22 /project
# chmod 3070 /project
project dir에서 ihduser가 file 생성 시, 해당 file의 group 소유권: project

cf. 권한 value

setUID(4), setGID(2), stickyBit(1)
read(4), write(2), execute(1)


48.
Unix Kernel base OS: QNX
Linux Kernel base OS: webOS, GENIVI, Tizen


50. Cluster
High Performance Computing Cluster (BeoWulf Cluster): HPC, 고계산용 클러스터
: 고성능의 계산 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Linux Virtual Server: LVS, 부하분산 클러스터
: 서버에 접근하는 이용자가 많을 때 서비스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사용
High Availibilty Cluster: HA, 고가용성 클러스터
: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


51.
Docker: 가상 머신처럼 독립된 실행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으로, 운영체제를 설치하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음
그러나 실제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설치 용량이 적고 실행 속도가 빠름
Xen: 반 가상화(Para Vertualization) 하이퍼 바이저(HyperVisor)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 linux kernel 기반으로 만들어진 전가상화 오픈소스 하이퍼 파이저

VirtualBox: 단일 장치에서 여러 운영 체제를 실행하고 클라우드에 쉽게 배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가상화 소프트웨어
* 가상화: CPU 등 물리적 자원들을 여러 개의 논리적인 자원으로 나누거나 다수의 물리적인 자원을 하나의 논리적인 자원으로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기술
* 전가상화: 다양한 게스트 OS를 수정없이 사용 가능

* 반가상화: 게스트 OS는 하이퍼바이저에 하드웨어의 제어를 요청하여 동작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이나 게스트 OS의 수정이 필요

* HyperVisor: Virtual Machine Monitor/Manager, 호스트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논리적 플랫폼

 

 

52.

Hadoop: 대량의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프리웨어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NoSQL: Not Only SQL, 기존 RDBMS 형태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 기술

R: 무료 프로그래밍 환경으로 주로 통계 분석에 사용

Anisible: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인프라의 상태를 코드로 작성(Instrastructure as a code)하고 이를 모든 서버에 배포함으로써 특정 환경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소프트웨어

 

 

53.

linux에서 dns에 설정되지 않아 특정 domain에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etc/hosts에서 domain을 등록해주면 domain 연결이 가능

 

 

54.

/etc/host.conf: 특정 도메인에 대해 IP 주소 값을 찾을 때, 주소 값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파일

# cat /etc/hosts.conf
multi on
order hosts,bind

// hosts: /etc/host
// bind: DNS를 의미, /etc/resolv.conf에 정의된 네임 서버

/etc/resolv.conf: 사용하고자 하는 네임 서버를 지정하는 파일,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어디서 받을 것인가를 정의해 놓은 파일

어떤 PC로부터 DNS 서버에게 도메인 주소를 IP 로 달라는 질의를 받은 경우, /etc/resolv.conf에 정의된 네임 서버에 쿼리를 보냄

 

 

55. FTP service

Port no. 20: File Transfer

Port no. 21: FTP Control

 

 

56.

SSH: 패킷을 암호화하여 안전한 원격 로그인을 지원하고 원격 shell, 원격 복사, 안전한 파일 전송 등을 지원

telnet: 네트워크 호스트와 포트에 연결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NFS: 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내 컴퓨터로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자신의 dir처럼 사용하는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원격 네트워크에서 또는 원격 네트워크로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

 

 

57.

Opera: Opera SW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

Safari: Apple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Chrome: Google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FireFox: Mozilla 재단에서 개발한 자유 SW

 

 

58.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서버 및 디바이스로부터 리소스 및 상태 등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 서버끼리 메일을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

IMAP: Internet Mail Access, 메일을 수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서버에 직접 접속하여 직접 메일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서버에 이메일이 그대로 남아있어 반복적으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음

POP3: Post Office Protocol, 메일을 수신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이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client PC로 직접 다운로드하는 형식으로 다운로드와 동시에 이메일 서버의 이메일 삭제

 

 

59. LAN 구성 방식

망(Mash)형: 장애 발생 시 우회 지점이 많으므로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음

그러나 설치 비용이 많이 들고  장애 발생 시 고장 지점을 찾기 쉽지 않음

링(Ring)형: 호스트 수가 늘어나도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력이 적

버스(Bus)형: 하나의 긴 케이블에 네트워크 상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형태로 호스트 수가 증가하면 처리 능력이 급감함

성(Star)형: 중앙 전송 제어 장치가 고장나면 네트워크 동작 불

 

 

60.

UTP: Unshielded Twisted Pair, 알루미늄으로 차폐되지 않은 상태로 두 쌍씩 꼬여있는 형태

STP: Shielded Twisted Pair, 알루미늄으로 차폐된 상태로 두 쌍씩 꼬여있는 형태

Fiber Cable: 광 케이블

 

 

 

 

61.

C class 네트워크 대역에서 서브넷 마스크 값을 255.255.255.192로 설정했을 때 생성되는 서브 네트워크 개수

256-192=64

256/64=4

 

 

62.

ip: ip 관련 정보 조회 및 설정, 라우팅 테이블*** 정보 출

ss: Socket Statistics, linux system의 소켓 및 네트워크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명령어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연결하려는 시스템의 MAC 주소* 표시

ifconfig: network interface와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수정

*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이더넷** 기반 기기에는 모두 다 하나씩 할당되어 있는 고유한 ID

** Ethernet: 근거리 장비간 통신 표준

*** Routing Table: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선으로 변환시키는 목적으로 사용

 

 

63.

mii-tool: Media Independent Interface Tool, network interface 연결상태 확인

ethtool: Network interface의 HW적인 설정값을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

 

 

64.

Ethernet Card 장착 시, 나타나는 장비명

CentOS v7 이전: eth0, eth1 ...

CentOS v7 부터: enp0s3

 

 

65. ssh 명령어

-p: 변경된 포트 번호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SSH 명령어 옵션

 

 

66.

SAMBA: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와 윈도우 운영체제 간의 자료 및 하드웨어를 공유하게 해줌

초기 - SMB(Server Message Block) protocol 사용

현재 -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 protocol 사용

 

 

67.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1계층: 물리 계층, 전송받은 데이터를 전기 신호(비트)로 변환하는 계층 // 리피터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프레임이라는 논리적인 단위로 구성하고 필요한 정보를 덧붙여 물리 계층으로 전송 // 브리지

3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과 경로 선택에 관한 서비스 제공 // 라우터

4계층: 전송 계층,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간의 연결기능을 제공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

5계층: 세션 계층, 응용 프로그램간의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동기화를 유지하는 서비스 제공

6계층: 표현 계층, 송신자와 수신자가 서로 다른 표현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번역을 통해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함

7계층: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

 

 

68. IPv4 Class

A class: 0.0.0.0 ~ 127.255.255.255

B class: 128.0.0.0 ~ 191.255.255.255

C class: 192.0.0.0 ~ 223.255.255.255

 

 

69.

IEEE: LAN 전송규격과 처리에 대한 표준 정립

ICANN: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ANA 업무를 현재 ICANN에서 관리

IANA: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으로 IP address, 최상위 도메인 등을 관

 

 

70. IEEE 표준화

IEEE 802.3: Ethernet

IEEE 802.4: Token Bus

IEEE 802.5: Token Ring

IEEE 802.6: MAN(DQDB: Distributed Queue Dual Bus)

FDDI: 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여 설계된 링 구조의 통신

 

 

71.

서브넷 마스크값: 255.255.255.192

-> 서브 네트워크: 256-192=64, 64*4=256(생성되는 서브 네트워크 4개)

IP address: 192.168.5.150

150-> 서브 네트워크: 128-191에 속함

Gateway: 시작주소+1 = 128+1=129

 

 

72.

LAN cable 규격 대역폭(BandWidth, MHz) 최대 전송속도
CAT-5 100 100Mbps
CAT-5E 100 1Gbps
CAT-6 250 1Gbps
CAT-7 600 10Gbps

 

 

73.

eog: eye of GNOME, 이미지 뷰어

totem: 동영상 플레이어

evolution: 메일, 주소록, 일정 등 개인정보 관리

evince: PDF 뷰어

 

 

75.

Qt: 리눅스에서 X-Window용 GUI program 개발에 널리 쓰이는 개발 프로그램

Xlib: C언어로 작성된 X-Window용 client library로 X 서버와 대화를 해주는 역할

XCB: X protocol C-language Binding, Xlib에서 XCB로 대체됨

GTK: GIMP* ToolKit, 리눅스에서 GUI를 다루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라이브러리

* GIMP: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 우분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편집기

 

 

76.

xset: X-Window(X 서버) 환경 옵션 설정

xauth:  .Xauthority 파일의 쿠키 내용을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출력, 쿠키 기반의 인증으로 xhost보다 인증 절차가 강화

xauth [option]

xhost: X-Window 접속할 수 있는 client 지정 또는 해제

xhost [+][-] [IP_address/Domain_Name]

xrandr: X-Window Resize and Rocate, 화면 해상도 변경

* 원격지에 있는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 client가 이용하는 명령어: xhost, xauth

 

 

77. Window Manager

GNOME(데스크톱 환경 GUI 시스템): GTK+(Library), eog(Image Viewer), totem(sound or 동영상), GIMP(Image Editor), Nautilus(파일 탐색기), mutter(GNOME3 ver Window Manager), metacity(GNOME2 ver Window Manager)

KDE(K DeskTop Environment,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 Qt(Library), gwenView(imageViewer), Kwin(Window Manager), Dolphin(파일 관리자)

 

 

78. DeskTop Environment

GNOME, KDE, LXDE(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를 위해 개발된 DeskTop 환경), Xface(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를 위해 개발1된 경량 DeskTop 환경)

 

 

79.

시스템 시작 시 콘솔 기반의 텍스트 모드로 부팅이 되도록 설정

: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Consol 기반-RunLevel3, Graphical.target: GUI 환경 기반-RunLevel5)

* systemctl: systemd(리눅스 부팅 시 시스템을 초기화하거나, 서비스들을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등 서비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CentOS7 이전**: init)을 관리하는 명령어

** CentOS7 이전:  /etc/inittab 문서에서 runlevels 설정을 통한 부팅 환경 변경

 

 

80.

xmodmap: X-Window에서 키보드 키 맵핑 설정 변경(Right Alt -> 한/영 전환 )

xrefresh: X-Window 화면 전체 또는 일부 새로고침